이런저런 이야기(144)
-
Dial-a-Story 육아팁
Toronto Public Library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아이가 전화하자고 떼를 쓰는데 전화할 곳은 없고.. (한국과의 시차 때문 일 경우도 있고 친구가 없는 나 같은 경우) 그럴 땐 여기에 전화를 하면 녹음된 동화를 들을 수 있다. 16개국 언어로 녹음된 동화는 하루에 한 가지 동화버전이 나온다. 24시간 아무때나 이용 가능하다. https://www.torontopubliclibrary.ca/services/dial-a-story.jsp Kids and their families can listen to a story by phone any time of day for FREE by calling the library's Dial-A-Story service at 416-395-5400. ..
2023.04.26 -
[경제 용어] 국가신용등급
국가신용등급은 정부와 같은 주권적 실체의 신용등급이다. 한 나라의 투자 환경의 위험 수준을 나타내며, 해외에 투자하려는 투자자가 이를 이용한다. 정치적 위험도 고려 사항에 포함된다. 신용등급은 AAA부터 C까지 총 22개로 나뉘며 대한민국은 IMF 당시 BB였지만 현재 AA(안정적)로 평가되고 있다. 상위권에는 캐나다, 호주,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이 있다. 미국의 S&P, Moody's, 영국의 Fitch 등 유명 국제 신용평가기관은 해당국의 정치체제의 안정성, 국가안보상의 위험 등 정치적인 요소와 경제성장률 외채규모, 대외 채무불이행 경험 등 경제적인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신용등급을 평가한다. 스탠더스&푸어스(S&P) 무디스와 피치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 회사에 ..
2023.04.24 -
[경제 용어] 공매도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 재화를 미리 빌려서 매도하여 현재 가격 만큼의 돈을 받고, 나중에 빌린 재화만큼 같은 수량의 재화를 상환하여 결제를 완료함으로써 중간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 방식을 보자면, 1. 현재 어떤 물건의 가격이 50만원이다. 2. 나는 이 물건의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이 물건 10개를 어떤 사람에게 빌려서 판다. 수중에 현금 500만원이 들어온다. 3. 이제 상환 시기가 되면 그 사람에게 물건 10개를 갚아야 한다. 4. 그런데 물건의 가격이 50만원에서 10만원으로 하락했다. 5. 10개를 사서 갚는데 100만원만 지불했으므로, 나는 400만원의 이득을 보았다. 물건의 가격이 떨어지면 돈을 버는 것이다. 출처: 나무위키 What is Short Selli..
2023.04.16 -
갑자기 너무 더워진 캐나다 날씨
저번주까지만 해도 쌀쌀했던 날씨가 한 주 만에 갑자기 더워졌다. 체감기온이 32도까지 올라가서 정신을 못 차리겠다. 다음 주엔 다시 기온이 좀 떨어지긴 하지만 4월에 이렇게 더워지는 걸 보니 정말 온난화가 심각한 것 같다.
2023.04.14 -
맥도널드 BT21 toys
2017년도에 네이버 라인프렌즈와 방탄소년단의 21세기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이다.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직접 아이디어를 내서 캐릭터와 설정을 만들었다고한다. (왼쪽부터 캐릭터 설명) 제이홉 : 망(Mang) - 소심함으로 인해 말 모양 가면을 쓰고 있어 그의 정체는 미스테리하다고 한다. 풀네임은 희망이라고. 종족은 말 이다. RM : 코야(Koya) - 모티브는 코알라. 생각에 빠져 있어 늘 자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정국 : 쿠키(Cooky) - 모티브는 토끼. 정국의 별명 중 '쿠키'에서 따왔으나 스펠링이 다르다. 한 쪽 눈썹이 두꺼운 것이 인상적이고 반전 매력이 있다고 한다. 진 : 알제이(RJ) - 모티브는 알파카. 친절하고 예의가 바르다. 츄러스를 좋아하고 추위에 약해 파카를 즐겨 입는다. 지민 ..
2023.04.11 -
[경제 용어] 공급탄력성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의 변화율. 가격이 몇% 변동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변화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 상품의 공급량은 보통 그 상품의 가격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 따라서 공급의 탄력성은 근본적으로 가격의 하락과 상승에 따라 공급량을 줄이고 늘일 수 있는 생산자의 능력에 달려 있다. 공급의 탄력성이 클수록 가격상승의 효과는 작으며, 반대로 탄력성이 적을수록 가격상승의 효과가 크다. 이런 점에서 공급의 탄력성의 크기는 생산능력에 얼마만큼 여유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공급의 탄력성은 기업의 생산량 변동에 의해 평균 생산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고, 기업의 생산기술수준과 생산요소가격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