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8)
-
[경제 용어] 경상수지
경상수지 : Current Account Balance 국가 간 거래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 생산 요소 거래 등으로 벌어들인 외화와 지급한 외화의 차액. 이때, 우리가 해외에 수출한 것보다 수입한 것이 더 많다면 경상수지 적자, 해외에 수출한 것이 수입한 것보다 더 많다면 경상수지 흑자 라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수출한 물건의 가격이 모두 70원이고, 수입한 물건의 가격이 모두 100원이라면 30원의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가 수출한 물건의 가격이 모두 100원이고, 수입한 물건의 가격이 모두 70원이라면 30원의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국제수지를 구성하는 수많은 항목 중에서 경상수지를 이처럼 특별 대우해 주는 이유는? 국제수지의 엑기스라 할 수 있는 상품수지(상..
2023.03.10 -
[경제 용어] 가산금리
가산금리 : SPREAD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 (spread는 본래 격차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한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반대로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진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시 부족했던 달러화를 해외에서 차입하거나 외평채를 발행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로 인해 대외신인도가 그만큼 낮아진데 따른 것이다. 해외에서 채권을 팔 때 미국 재무부 증권(TB) 금리나 리보(Libor: 런던은행 간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 발행금리가 정해진다. 일례로 채권..
2023.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