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질환의 계절인 겨울

2025. 1. 14. 01:00캐나다 이야기

오늘은 호흡기질환의 계절인 겨울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번에 온 가족이 독감에 걸려서 한참 고생했다.

일반 감기와 독감은 어떻게 다를까.

 

둘 다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지만,

일반 감기는 증상이 경미하고 서서히 나타나는 반면

독감은 갑작스럽고 심각하며, 고열과 몸살이 두드러진다.

 

특징 감기 독감
발열 드물거나 미열 흔하며 보통 고열(38도~40도)
몸살 없거나 가벼운 몸살 심한 근육통, 관절통
피로감 가벼운 피로 극심한 피로(초기부터 심함)
기침 가벼운 기침 마른기침, 심할 수 있음
코막힘/콧물 흔함 드물게 발생
목 통증 흔함 가끔있음
두통 드물거나 가벼움 흔함
소화기 증상 거의 없음 구토, 설사(특히 소아에서 더 흔함)
치료방법 증상 완화제(코막힘, 기침, 발열과 통증) 항바이러스제, 해열제 및 진통제
차이점 대개 가벼운 증상으로 대증 요법(해열제, 진통제, 비충혈제거제 등)으로 해결 가능 항바이러스제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초기 증상이 심할 시 병원 방문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시(부비동염, 중이염 등 합병증 의심) 고열이 3일 이상 지속, 호흡곤란, 가슴통증, 심한 피로감

 

- 충분한 휴식,

- 충분한 수분 섭취 : 따뜻한 차, 꿀물(2살 이하 제외), 닭고기 수프 등은 목을 진정시키고 점액을 얇게 만든다.

- 가습기 사용

- 손 씻기

- 기침, 재채기 시 휴지나 팔꿈치로 잘 가리기

 

참고로,

감기 증상에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다.

감기의 원인은 대부분 바이러스이며 

항생제는 세균 감염에만 작용한다.

 

항생제는 바이러스에 효과가 없으므로 감기를 치료하거나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 시 위장 장애, 알레르기 반응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내성균을 증가시켜 미래에 더 심각한 감염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항생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감기와 동반된 세균성 합병증이 있을 경우이다.

예를 들면,

부비동염, 중이염, 인후염, 세균성 폐렴 등.

 

독감에도 항생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세균 감염 치료제인 항생제는 효과가 없다.

 

독감의 치료 방법은

필요시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 자나미비르(릴렌자)

해열제(타이레놀 -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로 발열과 통증을 완화시킨다.

 

이번에 의사를 만나고 왔는데

막내는 물을 너무 안 마셔서 열이 안 떨어지고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

심한 탈수증까지 왔다.

수분섭취는 휴식만큼 정말 중요하다.

아이들이 물 마시기를 힘들어하면

주스나 코코넛워터(많이 마시면 설사할 수 있다)등을 다양하게 주거나

오이, 수박(겨울에도 수박을 파는 좋은 세상이더라), 귤 등 수분이 많은 야채나 과일을 주자.

입맛이 없어서 힘들더라도 먹어야 이겨낼 힘도 생긴다.

 

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하자.

Reduce the Spread of Respiratory Infections – City of Toronto

 

Reduce the Spread of Respiratory Infections

Respiratory infections can be caused by different viruses and bacteria and can cause illness along the respiratory tract (e.g., nose, mouth, airways and lungs). They include viruses like influenz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and COVID-19, and bacte

www.toronto.ca

 

오늘은 호흡기질환의 계절인 겨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